정부차원에서 국민들 노후 및 재산형성위해 마련해준 금융상품으로 아래 세가지가 있다.
ISA
IRP
연금저축펀드
이 중 연금저축펀드 (이하 연저펀) 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혜텍
- 과세이연
일반계좌에서 'TIGER 미국나스닥100' 등 국내 상장 해외 ETF를 매도시 세법상 신탁형 펀드로 분류되어,
매도시점에 즉시 15.4 원천징수가 된다.
but, 연금저축펀드에서 동일 종목을 매매하면 과세이연, 연금수령시점에 연금소득세(연령 구간에 따라 3.3~5.5%)가 부과된다.
즉 복리효과가 가능해진다.
- 절세
세액공제는 irp, 연저펀 에만 가능하다. isa 불가.
공제 한도는 연간 600만, irp 통합 900만 까지 가능.
700만원을 납입해도 공제는 600만원까지이다.
여기에 공제율을 곱한 금액이 실제 세액공제금액인데,
예를들어 연소득 5500만원인 경우,
공제율이 16% 라고하면, 납입액이 600만원이라하면 , 96만원이 세액공제된다.
종합소득세 몇백만원씩 나온다면 필수다.
2. 납입한도
매년 1800 만원까지 납입가능하고, 누적금액은 제한이 없다. 반면 ISA는 연 2000만원, 누적최대 1억 한도인데, 탄생 배경이 서민을 위한거라 큰 욕심버려야 함
3. 투자가능 종목
isa, irp, 연저펀들의 투자가능 종목이 조금씩 다르다.
irp 는 꽤나 보수적이라 채권이나 예금 등 안전자산을 일정비율 가지고 있어야 한다.
isa는 외국주식이 불가한것 빼고 제한이 제일 적다.
- 국내외 주식형 펀드: 국내주식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해외 주식형 펀드도 가능
- 채권형 펀드: 안정적 수익 추구를 위해 국채·회사채 펀드 포함
- 혼합형 펀드: 주식과 채권을 혼합한 분산 투자형
- ETF: 국내외 주식, 채권, 리츠(REITs) 등 다양한 ETF 매수 가능
- 리츠(REITs): 부동산 간접 투자 상품으로 배당 수익 기대 가능
- MMF, 타깃데이트펀드(TDF), 금 펀드 등: 투자 성향과 목적에 맞춰 선택 가능
불가한 종목 : 레버리지, 개별주식(ex 삼성전자 등)
연저펀의 가장 큰 장점은 미국지수를 살수있다는점.
영원히 오르는 미국지수를 과세이연해준다. 오직 연저펀만 제공해주는 혜택이다.
미국인들은 401k 때문에 오랜시간 근로소득이 발생하면 은퇴시점에 대부분 부자가 된다는 말이 있는데, 우리도 연저펀을 활용하면 그들과 거의 동등한 포지션인 셈이다.
4. 단점, 아쉬운점
- 배당금 초과시 종합과세
성공투자의 결과로 나중에 연간 배당금액이 커져서 연금수령시점에 일정금액을 초과하게되면 종합과세되거나 의료보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그부분은 아직 빌생하지 않은 먼미래이고 실보단 득이 커서 상쇄되는 부분이라 생각함
- 입금지연
ISA나 직접투자 계좌와 달리 입금 즉시 매수가능 금액으로 바뀌지 않고 하루나 이틀 영업일 정도가 지나야 매수가능해진다.
이는 세약공제와 연계된 상품이라 절차가 조금 더 보수적인듯 하다.
'정보 > 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0.03.24 상승사이드카 발동 (0) | 2020.03.24 |
|---|---|
| 달러 에 투자하고 싶다면 (0) | 2020.03.23 |
| 시화 거북섬 MTV 인공 서핑 흥할수있을까 (0) | 2020.03.17 |
| 제주도 세컨하우스 임장기 (1) | 2020.03.08 |
| 부린이가 쓰는 도면으로 로얄동 찾기 (0) | 2020.01.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