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리뷰2025. 1. 22. 19:52
반응형

OTT 구독은 안해도 따릉이는 구독을 하고 있습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활용도도 높아서 만족하고 있는데요, 한정거장만 가면 되는데 환승을 해야하거나 축구나 야구경기가 있어 지하철이 매우 혼잡할때 활용하면 매우 좋습니다. 

여러 달 사용하고 느낀 점과 개선하면 좋겠다 싶은 것들을 끄적여 봅니다.

- 요금

 일회용 요금은 1시간 1000 원입니다.  

 1시간 6개월은 15000 원, 1년은 30000 원이라 할인이 없어 굳이 1년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기서 주의점은 6개월 동안 하루에 1시간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인데요.  

 1시간내에 반납하면 하루에 몇번이라도 계속 이용할수 있다.

그래서 반납만 가능하다면 굳이 2시간 권을 살 필요도 없습니다.

아무데나 반납가능 한것은 아니고 반드시 지정된 대여소에 반납해야 반납이 가능합니다. 

가끔 민간이 운영하는 공유 vehicle 중에 아무데나 반납하는 것들도 있는데요. 

사용자는 편하겠지만 다른 시민이나 거주민에게는 매우 보기도 않좋고 민폐인데 따릉이는 그렇지 않아 좋습니다.

 

 

- 주의점 

 오랜동안 사용하면서 몸소 겪은 꿀체험기

 자전거의 정비상태가 제 각각 이라 대여하기 전에 몇가지 체크하고 대여하면 좋습니다. 

 제일 기본적으로는 벨, 브레이크 입니다. 브레이크는 매우 중요해서 보통 정비상태는 좋습니다.

 벨은 가끔 이상한 위치에 달려있거나 해서 불편한 경우도 있으니 잘 확인이 필요합니다. 

 두번째는 잠금장치 인데요. 

  앱으로 잠금해제를 하면 블루투스로 신호가 전달되서 자전거 잠금장치가 열려야 되는데 

 가끔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간내에 반납해야 되고 고장시 바로 도움을 받을 직원이 있는 것도 아니라 

 굉장히 난처한 상황에 처할수도 있어요. 그럴때는 차분히 앱이나 핸드폰을 재부팅 해 봅니다. 

 또는 수동으로 열리는지 시도해봅니다. 처음부터 잠금해제가 시원찮게 동작하면 바로 반납하게 다른 기기를 선택하는게 젤 좋아요.  

 

- 개선점 및 느낀점

따릉이는 민간사업자가 영리 목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겨울에는 위험하니 사용을 자제해 달라고 권고까지 합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운영을 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정비에 들어가는 비용이 발생할텐데 사용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을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그 노력을 조금은 줄일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직접 타지 않고서는 잘 모르는 상태들이 있으니까요.

많이 탈수록 탄소배출량이 절감되서 더 좋은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취지로 다들 많이 이용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정보/역사_여행_문화2025. 1. 18. 12:58
반응형

요즘 러우 전쟁 영향도 있지만 러시아 밈도 그렇고 러시아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러시아는 알면알수록 꽤나 독특한 나라이다. 

어릴적 초등학교 다닐때 보면 저학년 때는 키도 작고 맞고 다니다가 고학년 되면서 덩치도 커지고 힘도 세지면서 
반에서 짱까지 먹게되는 그런 아이가 있는데 러시아 역사가 그렇다. 

지금의 이미지만 보면 오래 전부터 동네 터줏대감으로 방구 꽤나 꼈을거 같지만 오랫동안 변방이었고 타민족에게 우리의 우두머리가 되어달라고 찾아가기도 하고, 몽골에 직접 지배당한 굴욕의 기간도 길다. 

- 간단하게 정리한 러시아 역사 

 9세기 동슬라브 족의 키예프 루스를 현대 러시아의 뿌리라고 본다면 이때를 시작으로(9세기 전까지는 존재감이 없다)  
 13세기 몽골제국의 지배, 15세기 모스크바 대공국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 러시아제국 -> 소비에트 연방(소련) -> 현재의 러시아 연방으로 이어지게 된다.
1991년 고르바쵸프 시절 구소련이 붕괴되고, 러시아 연방의 초대 대통령으로 옐친이 취임.

이후 푸틴, (헌법상 제약으로) 매드베데프 잠깐 걸치고 다시 푸틴이 현재까지 재임 중.
 2000년에 취임한 푸틴이 아직까지 해먹는 중이라는 사실.
 
- 러시아는 유럽인가 

우리의 시선으로 보면 러시아는 유럽이지만 유렵의 시선으로는 그들을 좀 다르게 본다. 
 1) 종교적 측면 : 유럽 중 가장 늦게 기독교를 받아들였다(988년). 기독교의 탄생을 1세기, 로마가 국교로 받아들인것이 380년 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뒤늦게 받아들임.  
 2) 정치 체제 : 유럽은 대부분 자유 민주주의, 러시아는 사실상 1인 독재 국가이다.
 3) 역사적 측면 : 유럽 역사의 뿌리는 로마, 러시아와는 별개의 역사 
유럽도 처음엔 중아집권적 왕정 국가에서 출발했지만 그 권력이 점점 귀족, 여러사람, 대중까지 내려오는 과정을 거침.
러시아는 헌법상 3권은 분리지만 이것이 지켜지지는 않음.  
 
유럽은 유럽공동체 출범이후 EU 국가 간에 사실상 국경이 없어지고 평화의 시대가 길어지게 되었다. 
때문에 사람들은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큰 관심사 이고, 국방비에 대한 지출이 점점 줄어들게 됨.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반응형

오징어게임2 에 타노스 역할의 빌런에 TOP 가 나오는데, 이에 대한 사람들의 반감이 꽤나 크다. 

연기에 대한 호불호를 말할수는 있다. 어차피 주관적인 평가이니까. 근데 좀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그정도까지는 아닌거 같은데 미운털이 많이 박혔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황동혁 감독은 top 을 캐스팅했을때 충분히 시간이 지난 사건이기에 괜찮을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물론 대중의 반응도 살펴봐야 겠지만 자기가 데려온 사람에 대해서는 끝까지 포용하는 태도를 보이지 못한것은 아쉬워보인다.

- 캔슬 컬쳐

캔슬 컬처(Cancel Culture, 취소 문화)란 나와 다른 생각이나 이념을 가진 사람(주로 유명인)의 SNS 팔로우를 취소하는 문화로 받아들여진다. 2010년대 이후 X(당시 트위터) 등 SNS 플랫폼에서 비롯된 이 온라인 문화 현상은, 소수자 혐오 등 부적절한 말을 한 사람들에게 ‘#Canceled’ 등의 말과 함께 해시태그를 다는 형태로 지적하며 생겨났다.

출처 : 경북대학교 신문방송사(http://www.knupresscenter.com)

예전에 가나출신 방송인 샘 오취리가 한국의 캔슬컬쳐가 유독 심하다고 말한적이 있다. 

샘 오취리 또한 한국말 잘하면서 한국을 사랑하는 모습들로 대중의 호감을 쌓다가 sns 에서 관짝소년단 학생들의 흑인 분장에 대해 한마디 한 것을 계기로 탈탈 털려서 그 이후로 (한국의) 방송에는 나오지 못하고 있다.  

누구나 잘못은 할수 있다. 이를 비난 할수도 있다. 그러나 한편에는 또 포용적인 문화도 있어야 하지 않나 싶다. 
삼국지에서 유비,관우,장비의 이야기를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은 그들의 의리, 의협심 등의 가치 때문일 것이다. 
한편 조조는 잔혹한 측면은 있었지만 삼국 중 제일 세력이 컸던 나라이다. (결국 사마의에게 먹히긴 했지만.)
그 조조가 제일 잘한 것은 사람을 뽑을때 유연한 것이었다. 능력이 있다면 받아주는 것에 있다. 그래서 능력이 있는 인재들이 조조에게 스스로 먼저 찾아가게 된 것이다. 

한번의 실수로 나락이 가게되면 다시는 기회를 얻지 못하는 사회보다는, 포용적이고 능력이 있다면 기회가 주어질수 있는 사회가 조금더 사회 전반적으로 활기찬 사회가 되지 않을까.. 혼자 생각해 봅니다.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