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16.07.13 작성


미국에 와서 중고차를 구하는 과정을 정리해 본다면..

 

1. 미국 면허증 받기 ( 이 부분은 주마다 상황이 다릅니다. 조지아주는 국제면허를 가지고 미국면허로 바꿀수 있습니다.)
  1-1. 한국에서 가져온 국제면허증 + 한국 면허증 + 여권 + 기타 필요한 서류들을 가지고 애틀란타 영사관에 가서 공증을 받는다.
  1-2. 공증문서가 집으로 날라오면 소셜카드, 필요한 서류들을 가지고 DDS 또는 DMV 로 가서 미국 면허증으로 교환.
* 미국 면허증은 신분증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여권을 집에 고이 모셔두고 다녀도 됩니다.  

2. 매물 서칭 & 컨택

중고차 매물을 구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을텐데 제가 아는 건 아래 세가지 정도입니다.

- 딜러 통해 구하기
새차 또는 거의 새차 급 위주의 매물. 딜러 비용 발생.

- 조지아텍 커뮤니티
한인학생들이 타고 댕기다가 귀국하면서 생기는 매물들. 케바케긴 하지만 여기 매물들은 주로 연식도 얼마안되고 가격대는 조금 높은 것들이 많이 보입니다. 저는 조지아 주에 살고 있어서 거기 한인 커뮤니티를 이용한거니까 다른 주에 계시다면 그 주변의 대학 커뮤니티가 있는지 확인해보시길..

- craigslist 매물
개인매물도 있고 딜러들 매물도 있고 가격대도 천차만별, 모델도 천차만별

세가지 경로마다 장단점과 특징이 있습니다. 딜러 통해 구하는건 가장 비용은 많이 발생하지만 차량구입, 등록, tag 다는 것 까지 다 알아서 해주고, 셋 중에선 제일 안전한 매물들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조지아텍 매물들의 특징은.. 학생들이라 그런지 어떤 자동차 모델이 좋고 팔때는 어떻게 해야하고
이런 best way 에 대한 정보들을 습득하고 행동하는 경향들이 있어선지 '혼다 시빅' 같은 중고차 살때 가장 안전하고 고장 잘안난다고 알려진 모델이 많이 보입니다. 그리고 매물 포스팅의 경우 구매자가 필요로 하는 필수 정보들을 대부분 제공합니다.

반면에 craigslist 에 나온 매물들은 친절하게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판매자도 있지만 이사람이 정말 팔 마음이 있는 건가 싶을 정도로 사진도 안올리거나 연식,모델명, 주행거리만 올리고 끝인 사람도 있고 다양합니다. 개인매물도 있고 private dealer 도 있습니다. 근데 느낌상 딜러 매물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사기 안당하고 안전한 매물을 찾는다면 아마도

  딜러 > 조지아텍 >> craigslist  이 순서 인듯 싶습니다..

But, 사기의 위험이 크지만 제가 원하는 조건에 맞는 매물은 craigslist 에 많이 있기에 저는 여기서 매물을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제가 찾는 매물은 4000~7000 사이 예산, 연식은 10년 이내의 compact ~ mid size sedan 타입 이었습니다.
조건에 맞는 매물을 찾아보니

2012 기아 포르테
2011 폭바 골프
2007 닛산 알티마
2009 쉐보레 아베오
2007 폭바 제타

이 정도가 나왔습니다.

-- craigslist 매물 확인 후기

그중에서 2011 폭스바겐 골프가 괜찮을 것 같아서 맘속으론 골프를 사려고 했습니다. 이전에 스페인에서 렌트할 때 몰아봤던 경험이 있는데 사이즈도 적당하고 차도 잘나가고 내부 계기판도 맘에 들고 전체적으로 괜찮았습니다. 다만 그때 이 차를 몰고 자동차털이 범을 만났던 재수없던 기억이 있긴 합니다... 그래도 안타봤던 차보단 타봤던 차가 나중에 후회 안할것 같아서 이쪽으로 맘이 기울었죠.

그런데..  판매자가 참 불성실합니다. 개인(private party 라고 부름)이 아닌 딜러 였는데, vin number 를 알려달라고 했더니
'지금 차 근처가 아니다 나중에 알려주겠다'하고 기다렸는데 소식이 없길래 다시 문자했더니 '퇴근했다 sorry' 이러고..
그래도 맘에 드는 매물이라 약속잡고 물건 보러 가겠다고 했는데 그날이 되니까 갑자기 '시간이 안될것 같다 sorry 내일 보자' 이러고 여튼 결국 골프는 물건도 확인 못 해봤습니다.

위에 리스트 중에 2007 폭스바겐 제타 는 제가 실수로 판매자를 바람맞혀서 (너무 많은 판매자랑 컨택하다 보니 꼼꼼하게 신경을 못쓴면이 있음) 물건 확인을 못해봤고 나머지 들은 다 봤습니다. 닛산 알티마 를 제외하고는 다들 뭔가 하나씩 하자가 보여서 구매하고 싶은 생각이 들진 않더군요.

기아 포르테는 브로커가 여잔데 느낌상 포르투갈 출신 같았습니다. 연식은 좋은데 129000 마일 를 뛴 과도하게 마일이 높은 차였는데, 마일이 높은건 이미 알고있었기에 차 상태를 집중적으로 확인해봤는데 핸들이 먼가 뻑뻑하고 한쪽으로 힘이 쏠리는 느낌인데, 나중에 브로커가 말해주는데 사고기록이 있다고 말해주네요. 
carfax report 의 기록을 보여주면서 큰 사고는 아니라고 설명은 해주는데 이미 주행 느낌이 좋지않은걸 확인한 후라 구매욕이 생기진 않았습니다. 제가 만족하지 못하자 다른 매물을 하나 더 보여줬는데 (2012 닛산 sentra) 연식에 비해 과도하게 삭은 느낌이 있었네요.

쉐보레 아베오는 유일하게 만났던 개인 매물인데, 차량 상태 깨끗하고 가격도 4500 정도로 저렴한데, 브레이크랑 엑셀이 사용감이 많아서 유격이 상당하고 엔진소리가 너무 힘이 없는것이 만약 산다면 좀 타다가 정비로 돈 좀 깨질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결국 구매를 하게 된것은 닛산 알티마 인데, Repo 차량이라고 이전 오너가 은행 loan 으로 샀는데 돈 낼 능력이 안되서 은행에 뺏겼던 것이 지금의 브로커에게 넘어간 매물이었습니다.

연식에 비해 차량 상태가 너무 깔끔하고 마일도 적고 테스트 드라이브를 해봤는데 전혀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다만 가격이 6500 정도로 다른 매물에 비해서는 좀 높았는데.. 하자있는 물건을 싸게 사느니 돈좀 쓰더라도 맘에 드는 물건을 사야 팍팍한 미국생활에 낙이라도 있어야 하겠다는 생각에 최종 낙점.

근데 바로 산건 아니고 이게 두번째로 본 매물이라 다른 것도 보고 오겠다고 말하고 결국 더 맘에 드는 매물을 보지 못해 다음날 다시 딜러의 사무실로 찾아가 대금을 지불하고 title 을 받아왔습니다. 차에는 45일인가 한달인가 기간동안 유효한 임시번호판을 달았습니다. 그 기간동안 DMV 에 가서 제 명의로 등록을 하면됩니다.

3. 차량 보험 가입 

차량 대금을 지불하고 나서 그 차량을 끌고 오려면 그 차량에 보험을 등록해야 합니다.
그래서 순서가 아래처럼 되겠죠.

마음에 드는 차량 결정 -> 보험사 에이전트 컨택 후 vin number, 드라이버 라이센스 정보 알려주고 보험 견적 내기

-> 차량 구입 -> 견적낸 보험 가입 -> 구매한 차 끌고 오기

4. 차량 등록하기

title, sales of bill 을 가지고 tag office 방문(다른 지역은 DMV 에서 하는것 같은데 제가 사는 지역은 DDS 라고 부르는 데가 있는데 거기가니까 tag office 로 가라고 알려줌) 차량 구입가의 일정 % 를 세금으로 내고 tag 값 지불하고 번호판을 그자리에서 줍니다. 내 이름이 들어간 타이틀은 집으로 날라올거라고 말해주고 끝!
번호판 다는건 생각보다 허술합니다. 그냥 손으로 나사 풀어서 번호판 끼고 다시 손으로 잠그고...
드라이버 있으면 그걸로 하겠지만 드라이버도 없고, 저한테 팔았던 딜러도 손으로 풀고 잠그고 하네요. 

 여러 과정을 겪고 미국에서 구입한 첫차!!    사고 안 나고 잘타고 다니겠습니다. ㅎㅎ

**  자잘하게 타이어 교환 등 정비 몇번 하고 탈없이 귀국시까지 잘 타고 옴.

반응형

'별거없는 일상 > 아메리칸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공장 4개월차  (0) 2023.02.05
닭공장 OT 기록  (0) 2023.02.05
미국 정착 준비하기(2016.06.21)  (0) 2023.01.30
애틀란타 첫 느낌  (0) 2023.01.29
내일간다  (0) 2023.01.29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반응형

## 2016.06.29 작성

 


미국 생활을 위한 정착과정 중에 가장 처음 준비해야 할 것들이 몇가지가 있다. 
 아래 다섯가지가 그들인데, 사람마다 조금씩은 차이가 있을지 모르겠으나 나처럼 어느날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사람은
 이 모든 것들을 다 직접 준비해야한다.

  1. 핸드폰 개통
  2. 은행계좌 개설
  3. 집 구하기
  4. 소셜넘버 받기
  5. 차 구하기

 나 또한 인터넷에서 정보를 많이 참조했고 도움을 받기도 했지만 막상 진행하면서 예상과 달랐던 부분도 있었고
 내가 필요했던 부분의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나와 동일한 케이스가 없어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현재 글쓰는 시점에서 5 번을 빼고 다 완료가 된 상태인데, 다 완료하고 글쓰면 좋을것 같긴한데 그때 되면 바쁠거 같아서.. 지금 대충 미리 써두고..
 현재는 영사관에서 운전면허 공증 문서를 기다리는 중인데 차가 없어서 갈데도 없고, 할 것도 없다. (요즘 포스팅 잦은 이유...) 

** 여튼 나는 그냥 나처럼 준비할수도 있다는 걸 말하고 싶은거고, but 이것만이 정답은 아니니까 참고만 하시길.

  1. 핸드폰 , 2. 은행계좌 는 난이도 '하 of 하' 굉장히 쉬운 미션.


   1) 핸드폰

   핸드폰은 어차피 한국에서 쓰던거 있으니까 JFK 공항에서 유심사서 갈아끼움.

  



 

공항에 가면 유심파는 직원이 있는데 첫달 89 불, 익월부터 39 불로

- 무제한 통화,텍스트,국제전화
- 데이터는 LTE 2Giga, 2기가 다쓰면 2g data 무제한

이게 된다고 해서 반신반의 하면서 샀다. 어차피 초창기에 여기저기 전화할데가 많을거 같아 무제한 통화가 꽤 괜찮은 것 같아서 그냥 지름.
나중에 다운타운에서 더 괜찮은 상품을 발견한다면 억울함에 밤잠을 못 이룰수 있겠지만..

지금까지 2주 안되게 썼는데 아직은 별 문제점은 잘 모르겠다. 아 근데 국제전화는 잘 안되는데 상대쪽에서 수신거부되었다는 문자가 온다고 하는데
왜 때문인지 잘 모르겠다. 근데 뭐 요즘이 국제전화하는 시대는 아니니까.. 보이스톡 하면 되니까 별 불편함은 아직 몰겠고..

요금납부하는게 좀 귀찮을거 같긴한데 매월 연장해야되니까.. 이건 나중에 알아보기로 하고..

** 데이터가 처음 2giga 는 LTE 이라고 했는데, 막상 써보면 그냥 3G 표시만 뜨는데, 이게 한국폰을 써서 그렇다고 친구가 그러네요..
주파수 문제로 4G는 안되나 봅니다.


 2)은행계좌

 은행계좌는 여행자 신분으로도 개설이 가능하다. 단, 주소지가 있어야 한다. 은행과 핸드폰이 난이도가 최하인 이유가 제약이 거의 없기 때문.
 나는 9000불 정도를 현금으로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만불 까지 별도 신고없이 출국가능) 미국에 도착한 다음날 바로 계좌를 개설했다.

 어느 은행을 통해 개설할 것인지는 각자 케이스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나의 경우에는 Bank of America 가 내가 지낼 지역에도 지점이 있어서
 큰 고민없이 결정. chase 나 다른 은행들은 의외로 조금만 외곽으로 나가도 지점이 거의 없다.
 타지점 ATM 수수료가 대략 5불 정도인데, 한국과 비교해도 너무 큰 돈이다.

 주소지는 나는 일 할 곳의 주소를 일단 적었다. 어차피 나중에 거처가 정해지면 그때 다시 주소를 변경하면 된다.
 but, 계좌를 개설하면 30일간 유효한 임시 debit 카드를 주는데 (그 자리에서 발급해주기 때문에 내 이름도 안써있다.)
 나중에 내 이름이 새겨진 카드가 나오는데 이게 내 주소지로 가기 때문에 지낼곳이 결정되면 반드시 은행에 들러서 카드가
 바뀐주소로 올수 있게 말해줘야 한다.  

 나는 뉴욕 지점에서 계좌를 개설하고 주소지를 조지아 주로 했는데 첫번째 지점에서는 조지아에 가서 개설하라며 거절을 당했다.
 사실 거절 당한 이유가 부적격이라기 보단 담당자가 없어서 자기 권한으로 처리 못하는 것 같아 보였다.
 그래서 근처의 다른 지점을 갔다.
 조지아 주소이면서 뉴욕에서 개설하는게 흔하진 않아 그 질문만 했을 뿐 뉴욕을 통해서 들어왔고 현금이 많아서
 계좌를 만들고 싶다고 하니 만들어줬다.

 


3) 집 구하기

  이 부분은 나는 룸메이트 구하는 집을 찾아 들어간거라 다른 경우보다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다.
다만 괜찮은 집을 한방에 얻기는 좀 힘들고.. 그렇다고 민박이나 호텔에서 임시로 지내면서 알아본다고 해도 그 비용이 만만치도 않고..   그리고 정확한 주소지가 있어야 그쪽으로 소셜카드, 은행카드 등도 날라오기 때문에 마냥 알아만 볼수도 없다.


 4) 소셜넘버 받기

    이것도 난이도 '하' 급. 그냥 동네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가서 새로 넘버 받으러 왔다고 하면 금방끝난다.
    카드가 배달되는건 시간이 걸리지만 내 넘버가 뭣인지는 담날에 오면 알려줄수 있다.
    내가 사는 지역이 사람이 많지 않아서 그럴수도 있지만 익히 들었던 미국 관공서의 업무 속도를 떠올려 보면 굉장히 쉽게 끝났다.


  5) 차 구하기

    국제면허+여권+한국면허 를 가지고 렌트카는 운전할 수 있다. 다만 장기 거주 비자의 경우 한달 이내에 미국 면허로 바꿔야 한다.
    그 기한 지나면 국제면허 효력이 사라졌던가 여튼 뭐가 안된다.  

    법적으로는 국제면허로 렌트카가 아닌차를 몰아도 상관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나에게 운전자 보험에 내가 가입이 안된 일반차를 빌려줄 사람은 없으므로..
    순서상으로는 1. 미국면허를 받고 2. 차를 사서 등록을 하고 3. 당일 보험을 가입하고
    이렇게 해야 되는것 같다. 물론 당일 보험 가입하려면 차를 사기 전에 '인터넷으로 보험 견적 내보고, 보험사 컨택' 이게 추가되어야 하겠지만

    여튼 차 구하는게 제일 골치아프고 신경쓸것도 많고 난이도 '최상'이다.

    처음엔 오자마자 차 살수 있을 줄 알고 렌트카 이틀 빌리는 기간동안 렌트카로 돌아다니면서 차를 사려고 했으나
    미국면허 없이 차를 살 수 없다는걸 알게되서 멘붕의 순간을 잠깐 겪었다. 정확히 말하면 살수는 있는데 무면허로 간주된다.

반응형

'별거없는 일상 > 아메리칸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공장 OT 기록  (0) 2023.02.05
미국에서 중고차 구하기  (0) 2023.01.30
애틀란타 첫 느낌  (0) 2023.01.29
내일간다  (0) 2023.01.29
미국이민준비 - 할게많다  (4) 2023.01.29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반응형

## 2016.06.29 작성 

애틀란타는 조지아주에 있는 주도 이다. 

조지아는 미국 남부에 속하며 한국의 기아차 공장이 있다. 바로 옆의 앨라버마 주에는 현대차가 있다. 

조지아 대학교가 있어서 한국인 유학생도 많이 온다. 

 













 

뉴욕에서 출발해서 거진 하루를 버스에서 보내고 도착한 애틀란타의 첫 느낌

1. 큰 건물이 많다. 대도시 같다.

2. 큰 건물 중 대다수는 호텔.

3. 밖에 돌아다니는 사람이 별로 없다. (이건 내가 일요일 도착이라 그럴수도..)

4. 돌아다니는 사람 중 대다수는 흑인.

여튼 코카콜라 빌딩이 여기있다는 것 말고는 별로 특징도 없고 재밌어 보이는 도시는 아닌 걸로.. => 관광 올 데는 아니구나

어떻게 여기서 올림픽을 개최한거지..



미국은 샌프란시스코나 뉴욕 정도 제외하면 메트로 같은 대중교통 시스템이 전무하다고 알고 있었는데, (그래서 공항에서 차를 렌트했지만)

의외로 생각지도 않게 marta 라는 이름으로 지하철은 아니고 전철이 다닌다.

가격도 공항에서 시티까지 3.5 불이었으니 저렴한 편.

들어갈때 찍고 나갈때 찍어야 하는 구조라서(구간마다 금액 상이) 티켓을 잘 간직해야 되는데,

한번은 티켓을 전철안에서 잃어버려서 못나오고 있는데, 직원한테 티켓 잃어 버렸다고 얘기하니까 암말없이 쿨하게 비상용 출입구 열어주고  자기 하던일 마저 함..

확실히 주 마다 다른 분위기가 있는 것 같음.  

 



 

 LA, 뉴욕 에서도 느낀건데, 미국은 숙박료가 싸고 괜찮은데 구하기 정말 힘든것 같다. (비수기때의 라스베가스 호텔 제외)

물가 비싼 런던도 한국돈 5만원 정도면 6인실 도미토리 깨끗한데 구할수 있는데, 여기는 아예 그런게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뉴욕에서 가장 저렴한 1인실에 지냈는데 너무 악몽같았고, 숙소로 돌아가는 길이 항상 괴로웠다.

1박을 보낼 애틀란타에서도 숙소를 알아봤는데 상황은 비슷한거 같았다. 저렴한 데는 평점이 별1개 수준 horrible 그런 단어들 나오고 예전 같았으면 그런 부정적 후기들이 그냥 불평하기 좋아하는 서양애들이 올린 후기라 생각했는데, 정말 평점 별 하나 수준의 숙소에 지내보니이젠 무시를 못하겠더라.

그래서 1박만 있을거라 좋은데서 지내보자 싶은 맘으로 시티쪽의 쉐라톤 호텔에 예약!

 역시 미국은 돈을 써야 되는 나라인건가..

 예약할땐 몰랐는데 이 날이 마침 내 생일이기도 해서 그냥 내 자신에게 선물했다 치니 돈이 아깝진 않았는데,

 머나먼 타국의 호텔방에서 홀로 생일을 맞은 것이 쓸쓸하면서도 슬펐다.

 이 경험들도 다 나중에 추억이 되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별거없는 일상 > 아메리칸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서 중고차 구하기  (0) 2023.01.30
미국 정착 준비하기(2016.06.21)  (0) 2023.01.30
내일간다  (0) 2023.01.29
미국이민준비 - 할게많다  (4) 2023.01.29
미국 비숙련 취업이민 준비  (0) 2023.01.29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반응형

## 2016.06.13 작성 

 

시간이 10일 정도 남았을 때쯤부터 '아 시간이 얼마없구나.' 하는 걸 느꼈다.

은행이나 관공서 업무를 처리할 시간으로 따지면 더 적어져서 결국 이력서 공증이나 연금해지는 그냥 놔두고 가는걸로..

환차익 + 선물의 개념으로 달러통장을 만들었는데, 정말 수익을 낼 수 있을런지..

가기싫어지는 마음이 점점 든다. 어쩌면 좋을까.. 가고싶은 마음과 열정이 넘쳐도 모자랄 판인데..

이래서 조금이라도 더 어리고 모를때 갔어야 하나보다. 

짐을 정리하면서 군대사진, 고등학교때 사진을 봤다.

친구들끼리 가끔 부자의 기준에 대해서 얘기하곤 하는데 물질적 자산이 기준이 아니라, 가진 인생의 경험으로도 충분히 풍족한 인생을 살고있다고 말할수 있지 않을까?

이제 내 인생의 또 다른 경험을 할 시간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솔직히 아직까진 많이 두렵고 자신이 없다.
적어도 들인돈 이상의 값어치는 해오자.  

Must to do

 1. 미국 IT 회사 경험(more than 5 yrs)
 2. my own business (한식당, 숙박 or whatever)
 3. 영어 원어민 수준
 4. 자산 5억 만들기 (지금 2만불 가지고 간다. )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반응형

## 2016.05.19 작성 

이민이라고 한번도 생각을 해본 적 없었는데, 그냥 외국에서 합법적으로 거주하면서 IT 일을 하고 싶었던 건데
어느새 내가 하고 있는게 이민이 되어버렸다.
여튼 막연히 생각했던것과 실제로 진행하면서 겪게 되는 상황을 보니, 다시 되돌릴 수만 있다면 다시 한번 더 깊게 생각해보고 싶다. 왜냐하면 여러면에서 금전적 손해가 많은 것 같다.

1. 수속 비용

에이젼시 비용 + 비자피 + 적응기간의 생활비 + 기회비용(미국에서 자리잡을때까지 기간동안 돈을 모을수가 없는데 같은 기간에 그냥 한국에서 일할 경우에 버는 돈)

비용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

2. 미국외 자산 신고

FACTA 인지 뭔지 땜에 영주권자 이상의 한국 내 금융자산에 대해 신고를 해야하는데(내가 하는게 아니고 금융기관이 정보를 주겠지..) 

=> ** 내가 하는거 맞음

신고한 금액에 대해서 얘네들이 세금을 부과할건지 어쩔건지 좀더 알아봐야 겠지만..
여튼 뭔가 상황이 불리해진것은 확실하다. 내 잔고를 얘네들이 꿰고 있다는 것도 불쾌하지만..
내가 여러 해외국가 중에 미국을 좋게 생각했던 이유가 바로 주식때문인데..
미국에서 퇴근할 시간이 한국에서 주식이 개장하는 시각쯤이기 때문에 내가 부지런하면 직업을 가지면서 전업투자를 하는게 가능하기에..
물론 이전 한가했던 직장에서도 거의 전업투자 경험이 있어서 수익이 그닥 차이가 많지 않은 건 알지만...
주식 차익으로 인한 재산 증식에 대해서 태클이 들어 올지..

심지어 달러통장을 만들어 놓는 것도 재외국민은 불법이라고 하는데 실망하지 않을수 없다.
근로소득이나 많이 벌어야지..


여권에 도장찍혀서 이제 출국만 하면 되는데 할게 많다.
한국에서 정리할것도 많고, 미국에서 랜딩 (집, 차, 전화, 계좌) 준비...
분명 호주에서도 계좌 열고, 일하고 해봤는데, 뭔가 다르게 또 되게 막막하다. 이번엔 차도 필요하니까..

특히 미국의 보험은 뭔가 좀 어려운거 같다. 이놈의 나라는 변호사랑 보험종사자들만 가득한지..
회사를 다니는 기간에는 오바마케어가 되는 거 같은데, 일하지 않는 기간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다.
퇴사를 하게되면 오바마케어가 적용안되고 사보험으로 가야되는데 비용이 비싸다고 하는데.
메디케이드는 영주권 5년이상 거주자만 혜택이라 나는 해당 사항없고
백수일때 보험료 내다 계좌 앵꼬나면 어떻게 되는거지?
이제 미국의 의료보험이 내가 겪어야 할 일이 되버리니 뭔가 문제가 좀 있다는게 실감이 난다.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반응형

## 2016.06.16 작성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미국 비숙련 이민에 대한 내용들인데  제가 미국 비숙련 이민을 준비하면서 얻은 정보,지식들과 생각, 느낀것 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미국 비숙련 취업이민의 메리트

저는 처음에 호주 영주권에 관심이 있었는데 장벽이 날이 갈수록 높아져갑니다. 과거엔  CS학사 + IT 4년 경력 + IELTS 6.0 이면 offshore 로 영주권 가능했으나 최근 관련법 개정으로 졸업후 2년을 경력으로 인정해주지 않아 사실상 CS학사 + IT 6년 + IELTS 도 7.0 each 가 되야 조건을 충족시킬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건들을 충족한다고 해도 100% 영주권을 받는다고 장담못합니다. 호주가 이민정책에 대해서 갈수록 배타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미국은 monster.com 이나 기타 다른 구직사이트를 통해서 direct로 스폰을 구하는 경우도 간혹 보입니다.
그러나 H1B는 4월에 비자를 받아도 10월 부터 일을 할수 있는 제약이 있어서 인력채용에 적극적인 구글, microsoft 급의
대기업이 아니면 사실상 수요가 많지는 않아 힘들어 보입니다. 물론 능력자들에게는 여전히 가능한 방법입니다만... 저는 그저 normal 한 수준의 엔지니어 인지라..  또 저는 개발자도 아니고 DBA 라서 해당 기업들이 많이 필요로 하는 포지션은 아닙니다.

H1B의 단점은 영주권이 아니고 취업 허가이기 때문에 스폰해준 회사에서 짤릴 경우 다른 스폰서를 구하지 못하면
한국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쉽게 짤리겠냐 반문 할 수 있겠지만 미국은 고용 유연성이 큰, 사람 해고가 쉬운 나라입니다.

영주권에는 어떤 흐름이나 추세같은게 있어서 따기 쉬운 때가 있습니다. 과거 호주 영주권이 그랬으나 현재는 거의 이민에 대해 막아놨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캐나다가 비교적 최근까지 호주의 대안으로 많이 언급되었는데 퀘백의 경우 불어 점수가 필요하고 사실 캐나다에서 IT로 일하는 것은 국내와 비교 했을 때 메리트가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모로 봤을 때 미국 비숙련이 지금 시점에서 가장 쉬운 영주권을 따는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나중에 다시 대기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이 방법도 메리트를 점점 잃어가게 되겠지요. 

2. 생활터전으로서의 미국과 호주 비교

저는 호주는 워홀로 지내봤고 미국은 여행으로 잠깐 가 본 것이기에 비교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그래도 나름의 경험과 통찰로 비교를 하자면 호주는 조용히 잘 사는 나라이고 국제적으로 꽤나 고립된 나라인데
그건 앞으로도 변함없을 듯 합니다.

과거 전 세계 경기를 위축시킨 2008년 금융위기때도 별 탈 없이 지나간 몇 안되는 국가중의 하나가 호주입니다.
그 정도로 세계 정세나 경제 흐름을 잘 안타고 나홀로 가는 스타일입니다.

그렇지만 산업기반이 취약하고 인구도 적어서 IT 분야에서 일 할 만한 도시가 멜번, 시드니 정도밖에 없을 듯 해 보입니다.
브리즈번만 하더라도 정말 회사 별로 없고, 퍼스는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도시입니다. 참고로 멜번에서 퍼스까지의 거리가 모스크바에서 런던까지의 거리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빼어난 자연경관과 신기한 야생동물들, 도시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비교적 괜찮은 날씨 그리고 비교적 괜찮은 치안이 매력적입니다.

미국은 제조업은 많이 무너졌지만 그래도 많은 산업 분야에서 여전히 강국이라 경기의 역동성이 많이 느껴지고 아직까진 기회의 땅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제 분야는 아니지만 에너지쪽도 경기가 좋아서 용접으로 온다면 일 할 기회는 주어질 듯 보입니다. 다만 치안이 안좋은 것은 조금 부담스러웁니다. 심심치 않게 들리는 총기 사고도 그렇지만 LA 나 뉴욕 같은 대도시에도 어두워지면 경찰도 가기 꺼리는 우범지대가 존재한다는 게 한국의 치안과는 수준이 다른 것 같습니다.

위의 내용들이 물론 제 짧디 짧은 식견으로 일반화 한 것이라 오류가 많을수 있겠지만 제가 느끼고 예상한 바 로는 이런것 같습니다.

3. 비 숙련 취업이민의 Risk 

비 숙련 취업이민은 닭공장같은 미국내에서 인력수급이 원할하지 못해 해외에서 노동자를 구하는 프로그램인데
한국에서 출국 할 때 부터 영주권을 받고 나갑니다.

접수에서 grant 까지 대기기간이 미국 내 사정에 따라 고무줄 같이 늘었다 줄었다 해왔는데 최근 많이 줄어들어서
고려 해 볼 만한 수준까지 왔다고 생각됩니다. 단점은 일이 고되다는 것과 (어차피 의무기간만 채우면 되지만 안해보았던 일이 편할 리 없겠죠) 접수해서 grant 까지의 과정중에 어떤 일이 생길지 예상하기 힘듭니다. 특히 audit에 걸리면 시간이 많이 걸릴수 있는데 이 과정이 투명하지가 않아서 무작정 기다리는 수 밖에 없구요..

간혹 이주공사와 계약하는 비용이 아깝다고 생각해서 자기가 직접 업체를 뚫어보려는 사람이 계시는데,
그런 낭만적인 생각은 저도 충분히 공감하나 미국의 고용주가 개인이랑 계약할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호주 워홀 때도 개인이 고용주를 직접 찾아가 일을 구하는 낭만적인 스토리가 존재하지만 그건 이미 워킹비자가 있는 상태였기에 가능한거고, 없는 비자를 줘야하는데 법률적인 문제가 끼고 복잡하기 때문에 개인이 하기에 너무 어려움.
그렇지만 아예 가능성이 없지는 않을 겁니다. 대신 맘 고생도 그렇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돈이 아예 안드는 것도 아닙니다. 

4. 업체선정

만약 비숙련 취업 이민으로 결정하고 업체를 선정한다면 어떤 업체를 선정해야하는지 또 고민해야하는데
발품팔아서 이 업체 저 업체 가보면서 직접 정보를 얻을 것을 추천함. 요즘은 업체들이 자기들끼리 비방도 하고 근거없이 깍아내리는 글도 종종 보여서 업체선정을 하는 소비자의 눈을 흐리게 하는데 업체의 말을 너무 믿지말고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보증보험에 가입되어있고 최근까지 꾸준하게 실적이 있는 업체라면 사실 큰 차이는 없을듯 합니다. 보증보험에 가입되었다면 진행 중간에 이주공사 업체가 사라져도 내가 진행한 case 는 이상없이 진행이 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5. 의무 노동기간

비숙련취업이민으로 가면 보통 고용주는 여러분들이 일정기간 이상 일해주기를 기대합니다.
보통은 그 기간이 1년인데요. 고용주가 먼저 얘기하는 기간이 있습니다. 그것을 따르시면 되는데..

그것보다 적게 일하고 그만두면 어떻게 되냐? 하고 물어보신다면..    다양한 케이스가 있는것 같네요.
나중에 시민권 신청할 때가 되었는데 의무 노동기간을 못채워서 부족한 기간만큼을 해당 업체에 다시 가서
일하고 시민권 신청한 케이스도 있고..

제일 문제가 없는 것은 역시 의무기간을 꽉 채우는 것이죠. 그러면 자신의 영주권은 물론 나중에 시민권
신청에도 발목잡힐 일이 없습니다.  

의무기간을 못채워도 고용주와 원만한 관계로 나온다면 영주권에는 이상이 없구요. 고용주가 괘씸하다고 생각해서 소송을 걸면 문제가 복잡해지는데, 사람들 사이에서는 6개월 일하면 안전하다는 생각이 어느정도 퍼져있는데,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가 과거에 6개월만 일한 사람이 고용주와의 소송에서 승소한 판례가 있어서 비숙련 준비하시는 분들 사이에서는 적어도
6개월은 일하라고 하는 믿음 같은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 미국 비숙련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정보제공의 목적으로 작성한 글이지만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저의 글은 참고만 하시고 민감한 부분들은 전문가를 통해 상담을 하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반응형

나는 2015년 즈음 미국 비숙련 취업 이민 이라는 EB3 로 미국 영주권을 받고 잠깐 지내다가 다음 해에 한국으로 왔다.

내가 EB3 를 진행할때는 오바마가 집권할 시기였다. 외국인 이민에 대해 우호적 분위기였고, 그래서 EB3 진행이 이례적으로 순조로웠다. 그러나 그후로 외국인 이민에 대해 배타적인 성격의 트럼프가 집권했다. 그리고 얼마후 코로나가 찾아왔다.

최근 7~8 년 동안은 아마 영주권 진행이 꽤나 더디었을 것이다. 지금은 나도 이쪽에 관심이 없어서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다. 


당시의 경험에 대해서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쓴적이 있는데, 잠깐 공개로 했다가 비공개로 전환했다.

현재는 네이버블로그를 거의 쓰지 않아, 당시 썼던 나의 글이 생명력을 읽어 가는 것 같아서 이쪽에 다시 옮기려 함. 

다만 당시에는 그래도 아직 혈기가 남아있던 때라 치기어린 날것의 감정이 남은 부분도 있어서 정제할 부분은 정제해서 옮길 생각임.

 

지금 이순간에도 미국 영주권을 따려고 준비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각자의 사정도 다르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나한테는 영주권이 크게 메리트가 없는것 같아서 나는 한국에 돌아와서 포기를 했는데 누군가에게는 영주권 자체가 목적이 될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참 세상은 다양한 사람과 관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다시 느낀다. 

나는 미국에서 IT 커리어를 이어갈 생각으로 신분문제 해결을 위해 EB3 닭공장을 진행했다. 신분문제는 그렇게 해결이 되었으나 IT job 을 구하는 데에서는 생각 보다 내가 준비가 안되어있음을 깨달았고 딱히 취업이 되어도 미국 생활이 만족스럽지 않겠구나 하는 것을 깨달아서 미련없이 영주권을 포기했다. 

근데 어떤이는 닭공장으로 영주권문제가 해결이 되었음에도 공장을 떠나지 않고 계속 일 한다는 글을 보고 꽤나 놀라웠다. 

첫번째는 '나는 너무 빡센 보직으로 굴린거구나' , (슈퍼바이저는 나에게 항상 모두가 꺼리는 힘든 보직을 시켰다.) 

두번째는 앞서 얘기한 '미국 생활 자체가 목적인 사람도 있구나.'  ( 시급도 적고, 환경도 열악한 곳이기에 ) 

이런 관점에서 충격을 받았다.  

원래 과거 미국 이민 1세대 (나의 아버지 뻘 이상 되는 분들) 때는 한국이 못 살았으니까 그땐 이민 자체 가 목적이 되던 시기이다. 그래서 그세대 분들은 세탁소 같은 손기술 필요한 일들 등을 하며 살아오셨다.  진짜 미국 현지에서 오래지내온 사람들이랑 만나 얘기해볼 기회가 몇번 있었는데 하나같이 자기들은 고생 엄청했다고 말씀하신다. 

지금 나의 세대에서는 이민을 생각하기는 해도 사무직 하던 생활을 버리고 미국에서 블루칼라로 사는 것을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것이다. ( 더 나은 보수, 더 나은 근무 환경을 목적으로 이민을 하는 것이기에.. ) 그리고 지금은 한국의 임금, 근무여건도 많이 개선되고, 세금 까지 감안하면 한국 생활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시간이 꽤 흘러서 이젠 그때 생각이 거의 나지 않아서 만약 이글을 읽은 분이 궁금한 점을 나에게 질문을 해도 잘 대답을 못할 것이다. 다만 당시 작성했던 글로 정보의 목마름을 해결할수 있으면 합니다. 

 

반응형

'별거없는 일상 > 아메리칸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정착 준비하기(2016.06.21)  (0) 2023.01.30
애틀란타 첫 느낌  (0) 2023.01.29
내일간다  (0) 2023.01.29
미국이민준비 - 할게많다  (4) 2023.01.29
미국 비숙련 취업이민 준비  (0) 2023.01.29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생계/Oracle2023. 1. 24. 23:54
반응형

오라클 인스턴스가 시작되면 초기화 파라미터에 명시한대로 메모리영역을 할당하고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메모리영역에 저장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프로그램코드
- DB에 연결된 세션 정보 (inactive 포함)
-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필요한 정보(예: 결과 rows 을 가져오는 쿼리의 현재 상태)
- 프로세스 간에 공유되는 lock 정보 
- 캐싱된 data (data blocks, redo record)

 


1. 오라클 메모리 구조

 1) SGA (System Global Area)


- Shared pool : SQL statements, data dictionary, Stored procedures 등을 캐싱하여 공유

- DB buffer cache : data block 을 disk I/O 를 통해 캐싱하여 공유. 
- Redo log buffer : redo log file 을 캐싱하여 성능 향상 
- Large pool : 아래 case 에서 shared pool 을 사용할수 있는데 large pool 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수 있다.
    shared server (session memory)
    Parallel query (message buffers)  
    Recovery Manager(I/O buffers )


- Java pool



 2) PGA (Program Global Area)


 : Server process 가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 ( oracle 에서는 작업대 정도로 비유함)
  각 server process 간에 각자의 PGA 를 사용하고 서로 공유되지 않음.
  세션 A 가 쿼리를 날렸을때 중간계산된 값이 다른 세션에 의해 사용이 되면 안될것이다. 
 

 

 

 각 서버프로세스는 각자의 PGA 를 할당받는다고 했는데, 시스템 전체의 PGA를 total instance PGA 혹은 Instance PGA 라고 부름.

SGA 는 시스템 전체에서 하나이기에 (single node 기준)  sga_max_size, sga_target 을 설정하지만 
PGA 는 서버프로세스별 할당하므로 연관된 초기화 파라미터에 전체를 의미하는 aggregate 가 붙는다.(pga_aggregate_limit,pga_aggregate_target) 

PGA 는 전체의 크기만 설정 가능하고 개별 세션의 PGA 를 조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해야함.

alter session set workarea_size_policy = manual;
alter session set sort_area_size = 1024000; 

하지만 오라클에서는 memory 관리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3) UGA (User Global Area) 
  The UGA is memory associated with a user session.
  
 4) Software code areas

 

참조문서 https://docs.oracle.com/database/121/CNCPT/memory.htm#CNCPT007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생계/Oracle2023. 1. 24. 22:45
반응형

테이블스페이스 사용량 확인할때 보통 dba_data_files 와 dba_free_space 뷰를 조인하는데

특정 디비에서 쿼리 수행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현상 확인. 

dba_data_files 만 조회했을때는 이상이 없으나 dba_free_space 가 원인임을 파악.

MOS(Doc ID 271169.1) 를 확인해보면 10g 부터 나온 기능인 recycle bin 에서 표시되는 object 까지 dba_free_space 가 포함하는 것으로 변경이 됨.

sys 로 로긴후 아래 실행

SELECT substr(DROPTIME,1,10), count(*)
  FROM dba_recyclebin
GROUP BY substr(DROPTIME,1,10)

purge dba_recyclebin;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생계/OERR2023. 1. 23. 20:34
반응형

[oracle@asmtest ~]$ oerr ora 12801
12801, 00000, "error signaled in parallel query server %s"
// *Cause: A parallel query server reached an exception condition.
// *Action: Check the following error message for the cause, and consult
//          your error manual for the appropriate action.
// *Comment: This error can be turned off with event 10397, in which
//           case the server's actual error is signaled instead.
[oracle@asmtest ~]$

병렬쿼리를 실행하다가 발생하는 에러. 

어떠한 이유로 인해서 병렬쿼리를 실행할수 없게 되었다는 메세지 일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에러는 따로 있다.

근본적인 원인인 에러(ora 12801 이 아닌) 가 발생해서, 병렬로 실행하던 쿼리를 더이상 진행할수 없다는 말이다.

 선행해서 발생한 에러를 확인해 보자.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