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06.16 작성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미국 비숙련 이민에 대한 내용들인데  제가 미국 비숙련 이민을 준비하면서 얻은 정보,지식들과 생각, 느낀것 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미국 비숙련 취업이민의 메리트

저는 처음에 호주 영주권에 관심이 있었는데 장벽이 날이 갈수록 높아져갑니다. 과거엔  CS학사 + IT 4년 경력 + IELTS 6.0 이면 offshore 로 영주권 가능했으나 최근 관련법 개정으로 졸업후 2년을 경력으로 인정해주지 않아 사실상 CS학사 + IT 6년 + IELTS 도 7.0 each 가 되야 조건을 충족시킬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건들을 충족한다고 해도 100% 영주권을 받는다고 장담못합니다. 호주가 이민정책에 대해서 갈수록 배타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미국은 monster.com 이나 기타 다른 구직사이트를 통해서 direct로 스폰을 구하는 경우도 간혹 보입니다.
그러나 H1B는 4월에 비자를 받아도 10월 부터 일을 할수 있는 제약이 있어서 인력채용에 적극적인 구글, microsoft 급의
대기업이 아니면 사실상 수요가 많지는 않아 힘들어 보입니다. 물론 능력자들에게는 여전히 가능한 방법입니다만... 저는 그저 normal 한 수준의 엔지니어 인지라..  또 저는 개발자도 아니고 DBA 라서 해당 기업들이 많이 필요로 하는 포지션은 아닙니다.

H1B의 단점은 영주권이 아니고 취업 허가이기 때문에 스폰해준 회사에서 짤릴 경우 다른 스폰서를 구하지 못하면
한국으로 돌아와야 합니다. 쉽게 짤리겠냐 반문 할 수 있겠지만 미국은 고용 유연성이 큰, 사람 해고가 쉬운 나라입니다.

영주권에는 어떤 흐름이나 추세같은게 있어서 따기 쉬운 때가 있습니다. 과거 호주 영주권이 그랬으나 현재는 거의 이민에 대해 막아놨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캐나다가 비교적 최근까지 호주의 대안으로 많이 언급되었는데 퀘백의 경우 불어 점수가 필요하고 사실 캐나다에서 IT로 일하는 것은 국내와 비교 했을 때 메리트가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모로 봤을 때 미국 비숙련이 지금 시점에서 가장 쉬운 영주권을 따는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나중에 다시 대기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이 방법도 메리트를 점점 잃어가게 되겠지요. 

2. 생활터전으로서의 미국과 호주 비교

저는 호주는 워홀로 지내봤고 미국은 여행으로 잠깐 가 본 것이기에 비교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그래도 나름의 경험과 통찰로 비교를 하자면 호주는 조용히 잘 사는 나라이고 국제적으로 꽤나 고립된 나라인데
그건 앞으로도 변함없을 듯 합니다.

과거 전 세계 경기를 위축시킨 2008년 금융위기때도 별 탈 없이 지나간 몇 안되는 국가중의 하나가 호주입니다.
그 정도로 세계 정세나 경제 흐름을 잘 안타고 나홀로 가는 스타일입니다.

그렇지만 산업기반이 취약하고 인구도 적어서 IT 분야에서 일 할 만한 도시가 멜번, 시드니 정도밖에 없을 듯 해 보입니다.
브리즈번만 하더라도 정말 회사 별로 없고, 퍼스는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도시입니다. 참고로 멜번에서 퍼스까지의 거리가 모스크바에서 런던까지의 거리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빼어난 자연경관과 신기한 야생동물들, 도시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비교적 괜찮은 날씨 그리고 비교적 괜찮은 치안이 매력적입니다.

미국은 제조업은 많이 무너졌지만 그래도 많은 산업 분야에서 여전히 강국이라 경기의 역동성이 많이 느껴지고 아직까진 기회의 땅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제 분야는 아니지만 에너지쪽도 경기가 좋아서 용접으로 온다면 일 할 기회는 주어질 듯 보입니다. 다만 치안이 안좋은 것은 조금 부담스러웁니다. 심심치 않게 들리는 총기 사고도 그렇지만 LA 나 뉴욕 같은 대도시에도 어두워지면 경찰도 가기 꺼리는 우범지대가 존재한다는 게 한국의 치안과는 수준이 다른 것 같습니다.

위의 내용들이 물론 제 짧디 짧은 식견으로 일반화 한 것이라 오류가 많을수 있겠지만 제가 느끼고 예상한 바 로는 이런것 같습니다.

3. 비 숙련 취업이민의 Risk 

비 숙련 취업이민은 닭공장같은 미국내에서 인력수급이 원할하지 못해 해외에서 노동자를 구하는 프로그램인데
한국에서 출국 할 때 부터 영주권을 받고 나갑니다.

접수에서 grant 까지 대기기간이 미국 내 사정에 따라 고무줄 같이 늘었다 줄었다 해왔는데 최근 많이 줄어들어서
고려 해 볼 만한 수준까지 왔다고 생각됩니다. 단점은 일이 고되다는 것과 (어차피 의무기간만 채우면 되지만 안해보았던 일이 편할 리 없겠죠) 접수해서 grant 까지의 과정중에 어떤 일이 생길지 예상하기 힘듭니다. 특히 audit에 걸리면 시간이 많이 걸릴수 있는데 이 과정이 투명하지가 않아서 무작정 기다리는 수 밖에 없구요..

간혹 이주공사와 계약하는 비용이 아깝다고 생각해서 자기가 직접 업체를 뚫어보려는 사람이 계시는데,
그런 낭만적인 생각은 저도 충분히 공감하나 미국의 고용주가 개인이랑 계약할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호주 워홀 때도 개인이 고용주를 직접 찾아가 일을 구하는 낭만적인 스토리가 존재하지만 그건 이미 워킹비자가 있는 상태였기에 가능한거고, 없는 비자를 줘야하는데 법률적인 문제가 끼고 복잡하기 때문에 개인이 하기에 너무 어려움.
그렇지만 아예 가능성이 없지는 않을 겁니다. 대신 맘 고생도 그렇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돈이 아예 안드는 것도 아닙니다. 

4. 업체선정

만약 비숙련 취업 이민으로 결정하고 업체를 선정한다면 어떤 업체를 선정해야하는지 또 고민해야하는데
발품팔아서 이 업체 저 업체 가보면서 직접 정보를 얻을 것을 추천함. 요즘은 업체들이 자기들끼리 비방도 하고 근거없이 깍아내리는 글도 종종 보여서 업체선정을 하는 소비자의 눈을 흐리게 하는데 업체의 말을 너무 믿지말고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보증보험에 가입되어있고 최근까지 꾸준하게 실적이 있는 업체라면 사실 큰 차이는 없을듯 합니다. 보증보험에 가입되었다면 진행 중간에 이주공사 업체가 사라져도 내가 진행한 case 는 이상없이 진행이 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5. 의무 노동기간

비숙련취업이민으로 가면 보통 고용주는 여러분들이 일정기간 이상 일해주기를 기대합니다.
보통은 그 기간이 1년인데요. 고용주가 먼저 얘기하는 기간이 있습니다. 그것을 따르시면 되는데..

그것보다 적게 일하고 그만두면 어떻게 되냐? 하고 물어보신다면..    다양한 케이스가 있는것 같네요.
나중에 시민권 신청할 때가 되었는데 의무 노동기간을 못채워서 부족한 기간만큼을 해당 업체에 다시 가서
일하고 시민권 신청한 케이스도 있고..

제일 문제가 없는 것은 역시 의무기간을 꽉 채우는 것이죠. 그러면 자신의 영주권은 물론 나중에 시민권
신청에도 발목잡힐 일이 없습니다.  

의무기간을 못채워도 고용주와 원만한 관계로 나온다면 영주권에는 이상이 없구요. 고용주가 괘씸하다고 생각해서 소송을 걸면 문제가 복잡해지는데, 사람들 사이에서는 6개월 일하면 안전하다는 생각이 어느정도 퍼져있는데,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가 과거에 6개월만 일한 사람이 고용주와의 소송에서 승소한 판례가 있어서 비숙련 준비하시는 분들 사이에서는 적어도
6개월은 일하라고 하는 믿음 같은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 미국 비숙련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정보제공의 목적으로 작성한 글이지만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저의 글은 참고만 하시고 민감한 부분들은 전문가를 통해 상담을 하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나는 2015년 즈음 미국 비숙련취업이민 이라는 EB3 로 미국 영주권을 받고 잠깐 지내다가 다음해에 한국으로 왔다.

내가 EB3 를 진행할때는 오바마가 집권할 시기였다. 외국인이민에 대해 우호적이었고 그래서 EB3 진행이 이례적으로 순조로웠다. 그러나 그후로 외국인에 대해 배타적인 트럼프가 집권했다. 그리고 코로나시기가 찾아왔다.

최근 7~8 년 동안은 아마 영주권 진행이 꽤나 더디었을 것이다. 지금은 나도 이쪽에 관심이 없어서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다. 


당시의 경험에 대해서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쓴적이 있는데, 잠깐 공개로 했다가 비공개로 전환했다.

현재는 네이버블로그를 거의 쓰지 않아, 당시 썼던 나의 글이 생명력을 읽어 가는 것 같아서 이쪽에 다시 옮기려 함. 

다만 당시에는 그래도 아직 혈기가 남아있던 때라 치기어린 날것의 감정이 남은 부분도 있어서 정제할 부분은 정제해서 옮길 생각임.

 

지금 이순간에도 미국 영주권을 따려고 준비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각자의 사정도 다르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나한테는 영주권이 크게 메리트가 없는것 같아서 나는 한국에 돌아와서 포기를 했는데 누군가에게는 영주권 자체가 목적이 될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참 세상은 다양한 사람과 관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다시 느낀다. 

나는 미국에서 IT 커리어를 이어갈 생각으로 신분문제 해결을 위해 EB3 닭공장을 진행했다. 신분문제는 그렇게 해결이 되었으나 IT job 을 구하는 데에서는 생각 보다 내가 준비가 안되어있음을 깨달았고 딱히 취업이 되어도 미국 생활이 만족스럽지 않겠구나 하는 것을 깨달아서 미련없이 영주권을 포기했다. 

근데 어떤사람은 닭공장으로 영주권문제가 해결이 되었음에도 계속남아서 일을 한다는 글을 보고 꽤나 놀라웠다. 

첫번째는 '나는 너무 빡센 보직으로 굴린거구나' , 두번째는 앞서 얘기한 '미국 생활 자체가 목적인 사람도 있구나.' 

이런 관점에서 충격을 받았다.  

원래 과거 미국 이민 1세대 (나의 아버지 뻘 이상 되는 분들) 때는 한국이 못 살았으니까 그땐 이민 자체 가 목적이 되던 시기이다. 그래서 그세대 분들은 세탁소 같은 손기술 필요한 일들 등을 하며 살아오셨다.  진짜 미국 현지에서 오래지내온 사람들이랑 얘기해보면 자기들은 고생엄청했다고 다들 말씀하신다. 

지금 나의 세대에서는 이민을 생각하기는 해도 사무직 하던 생활을 버리고 미국에서 블루칼라로 사는 것을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리고 지금은 한국 임금, 근무여건도 많이 개선되고, 세금 감안하면 한국 생활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시간이 꽤 흘러서 이젠 그때 생각이 거의 나지 않아서 만약 이글을 읽은 분이 궁금한 점을 나에게 질문을 해도 잘 대답을 못할 것이다. 다만 당시 작성했던 글로 정보의 목마름을 해결할수 있으면 합니다. 

 

반응형

'별거없는 일상 > 아메리칸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정착 준비하기(2016.06.21)  (0) 2023.01.30
애틀란타 첫 느낌  (0) 2023.01.29
내일간다  (0) 2023.01.29
미국이민준비 - 할게많다  (4) 2023.01.29
미국 비숙련 취업이민 준비  (0) 2023.01.29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생계/Oracle2023. 1. 24. 23:54

오라클 인스턴스가 시작되면 초기화 파라미터에 명시한대로 메모리영역을 할당하고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메모리영역에 저장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프로그램코드
- DB에 연결된 세션 정보 (inactive 포함)
-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필요한 정보(예: 결과 rows 을 가져오는 쿼리의 현재 상태)
- 프로세스 간에 공유되는 lock 정보 
- 캐싱된 data (data blocks, redo record)

 


1. 오라클 메모리 구조

 1) SGA (System Global Area)


- Shared pool : SQL statements, data dictionary, Stored procedures 등을 캐싱하여 공유

- DB buffer cache : data block 을 disk I/O 를 통해 캐싱하여 공유. 
- Redo log buffer : redo log file 을 캐싱하여 성능 향상 
- Large pool : 아래 case 에서 shared pool 을 사용할수 있는데 large pool 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수 있다.
    shared server (session memory)
    Parallel query (message buffers)  
    Recovery Manager(I/O buffers )


- Java pool



 2) PGA (Program Global Area)


 : Server process 가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 ( oracle 에서는 작업대 정도로 비유함)
  각 server process 간에 각자의 PGA 를 사용하고 서로 공유되지 않음.
  세션 A 가 쿼리를 날렸을때 중간계산된 값이 다른 세션에 의해 사용이 되면 안될것이다. 
 

 

 

 각 서버프로세스는 각자의 PGA 를 할당받는다고 했는데, 시스템 전체의 PGA를 total instance PGA 혹은 Instance PGA 라고 부름.

SGA 는 시스템 전체에서 하나이기에 (single node 기준)  sga_max_size, sga_target 을 설정하지만 
PGA 는 서버프로세스별 할당하므로 연관된 초기화 파라미터에 전체를 의미하는 aggregate 가 붙는다.(pga_aggregate_limit,pga_aggregate_target) 

PGA 는 전체의 크기만 설정 가능하고 개별 세션의 PGA 를 조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해야함.

alter session set workarea_size_policy = manual;
alter session set sort_area_size = 1024000; 

하지만 오라클에서는 memory 관리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3) UGA (User Global Area) 
  The UGA is memory associated with a user session.
  
 4) Software code areas

 

참조문서 https://docs.oracle.com/database/121/CNCPT/memory.htm#CNCPT007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