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12.26 작성 

8월 15일 입사 이후 이제 4개월이 지나간다.
첨엔 몰랐는데 지금 와보니 난 처음부터 닭내장 뽑는걸 시켰다. 지금껏 처음 온 애들을 유심히 지켜봤는데 처음 온 날부터 닭내장 뽑는거 시킨애는 거의 없었다. 근데 왜 난??  이유가 뭘까? 궁금하다.. 얘내들이 날 어떻게 생각하는지 무슨 생각으로 나를 투입시킨건지.. 여튼 처음 며칠 닭내장 뽑는거 시키다가 여러 잡일 시키다가 다시 내장뽑는거 시켜서 손 아프다고 항의해보니 floor 한달 정도 했나? 그때도 뭐가 뭔지 모를때라 어떤경우에 USDA 가 닭을 빠꾸시키는지 몰라서 나한테 일부러 저러나 싶어서 화가 났던 적도 있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냥 참고 넘어가길 잘했다.

** 지금 생각해보면 슈퍼바이저는 우리같은 비자스폰서로 일하는 사람들의 그만둘수 없는 처지를 이용해서 현지인력도 하기 싫어하는 포지션에만 의도적으로 계속 집어넣었던것 같다. 

신디가 집요하게 닭내장만 시켜서 그래 니가 원하는대로 해줄게 란 생각으로 결국 닭내장 혼자 1개월 했나?
의도치 않게 조기에 임금 인상도 되고.. 그러다 손에 이상이 와서 결국은 못버티고 performance 가 떨어지니까 옆에 한명 붙여줘서 둘이 하다가 지금은 아예 가위쓰는 포지션으로 밀려났다. 가위는 편한 줄 알았는데 가위도 손을 많이 상하게 만들더라. 커팅되지 않은 닭이 많은 날이면 그날은 손이 죽어나는 거다. 쉬는날도 손이 아픈데 이게 일을 그만둔다고 해도 얼마나 갈지.. 오래 후유증이 남을 것은 확실해 보인다. 너무 닭공장을 쉽게 봤다. 여기서 그만둬도 사실 10년은 큰 문제 없을거 같은데, 막상 실행에 옮기려니 주저하게 된다. 좀만 더 버텨야지.. 좀 더 확실하게 진단을 받고 나가야지..

사실 후회도 많이 되고 무모한 결정이었다는것도 이제 인정하고 이대로 한국을 돌아가게 될수있다는 것도 이제는 수용할수 있을것 같다. 사기로 돈을 날리는 사람도 있는데 나도 그정도 경험했다고 생각할수도 있는 마음이 생겼다.
별 문제 없으면 좋겠지만...  퇴근후 집에오면 12시가 넘어가는데 유난히 달이 밝은 날이면 미국생활이 잘 풀리게 해달라고 달에게 빌곤했다. 나의 바램대로 되면 좋겠지만 ... 안되어도 어쩔수 없지 다 내가 선택한 일들인데..

반응형

'별거없는 일상 > 아메리칸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 에서 주차 하기 스트릿파킹  (0) 2023.02.07
닭공장 OT 기록  (0) 2023.02.05
미국에서 중고차 구하기  (0) 2023.01.30
미국 정착 준비하기(2016.06.21)  (0) 2023.01.30
애틀란타 첫 느낌  (0) 2023.01.29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 2016.08.22 작성

- 08.16 화요일 드디어 OT를 진행

(OT전에) 한번 왔던 공장이지만 느낌이 다르다. 이번엔 다들 우리를 주목하는 눈빛을 쉽게 느낄수가 있었다.
누군가는 가볍게 인사를 건넨다. 유일한 동양인이니 신기한가 보다.. 이런 느낌 싫은데.. 쪽팔렸다.
이름 생각안나는 한국인과 OT 마치고 다음날 부터 출근 하랜다. 거의 두달을 놀았지만 아직 준비안된 느낌이라 부담스웠다.
월마트에서 장화를 사고 집에 돌아와 와인 한잔을 마시고 잠을 청했다.

- 08.17 첫 출근

 오전 반은 5am to 2pm 인데 5시는 너무 이른 느낌이라 오후반을 했다. '신디'라는 나이 많은 백인 슈퍼바이저가 옷을 줬다.
 "How did you end up here" 물어보는데 영주권땜에 왔다는 얘기는 하지 못했다. 혹시라도 불순하게 볼까바...
 PPE 가 정확하게 뭔진 모르겠지만 옷을 주며 한쪽 코너로 갔다. 우리 옷차림을 보며 더울거라며 후드는 필요없다고 한다.
 전에 호주 양공장 경험이 있어 추울줄 알았더니 .. 덥다?..
 신디 말대로 조금 일하니 덥다.  추운게 나을까? 더운게 나을까?
 초반엔 '쉬운 일이네, 이 정도면 10개월 채우지.' 라고 생각했는데 조금만 지나니 그 생각이 싹 달아났다.
 한가지 자세로 2시간 반을 버티기가 너무 힘들었다.
 닭내장을 오른손으로 집어 바깥쪽으로 비틀라는데 왼손잡이인 나에겐 오른손으로 집중적으로 반복되는 노동이 버거웠다.

- 08.19 삼일차 

  삼일차인데 이제 적응된것 같다고 느낄만하면 다시 또 참기 어렵게 힘들다. 
  두시간 반을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는게 정말 힘든거구나. 호주에선 어떻게 한거였지..
  아직 쩌리이긴 한데 갠적인 느낌이지만 나를 인정해주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제이슨이나 신디로 부터..
  물론 열심히 일한다고 돈 더주는 것도 아니고 시간 더 처주는 것도 아니다. 그렇지만..

  1. 그래도 일할땐 인정받고 나가고 싶고
  2. 이렇게 일한 경험이 미국 이민생활의 밑거름이 될거란 생각이 든다.
  
 첫날 일하고 나서 막 후회가 되고 돈많은 놈은 투자이민으로 영주권도 받고 수익도 남길수 있을텐데, 난 왜 이런 고생을 하고 있는 건가.. 싶기도 하고 앞으로 남은 수 개월의 시간들이 부담스러웠는데 좋게 생각해 보기로 했다.
 이번 경험을 기회라고 생각하자.

 다시 낮은 곳으로 와서 바닥부터 경험을 하는 것, 미국의 실제 모습을 알기위한 경험이라 생각하자.
 나중에 이곳을 졸업하고 훗날 뉴욕에서 일하게 될때, 한층 더 미국사회에 동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애들 하는 말 중에   "I've paid for it." 란 게 있다.  내가 받고 있는 권리나 상황등이 공짜로 주어진 것이 아니고 정당한 대가를 치뤘다는 의미로 사용하는데.. 내가 이 과정을 거치면 절대 무임승차로 이민온 것이 아니라고 말할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별거없는 일상 > 아메리칸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 에서 주차 하기 스트릿파킹  (0) 2023.02.07
닭공장 4개월차  (0) 2023.02.05
미국에서 중고차 구하기  (0) 2023.01.30
미국 정착 준비하기(2016.06.21)  (0) 2023.01.30
애틀란타 첫 느낌  (0) 2023.01.29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생계/백업복구2023. 2. 3. 00:23

오라클에서 사용가능한 백업 복구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1. flash back
 : 사용자 실수로 삭제된 데이터, 테이블 복원에 적합하다.
   recyclebin 에 남아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복원하기 때문에 
   undo retention이나 undo 사이즈에 따라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용 불가한 복구방식. 
   복구대상 테이블에 DDL 이나 truncate 가 되었다면 사용불가

2. ctas + 압축
 : 예정된 작업 전의 백업에 사용하기 적당.   
 
3. rman  
 : 다양한 방식으로 백업 가능. 클론디비가 필요한 복원은 비교적 간단하진 않다.
   datafile + arc + redo 가 사용되어 원하는 시점복구가 가능.
 - physical level 방식의 이점 => block-level compression, incremental backup 
 - physical level 방식의 단점 => db버전이나 설정등에 따른 제약 존재  
 
4. datapump 
 : logical level (row level) 방식. 
   rman 에 비해서 조작이 비교적 단순하다.
   오직 백업받은 시점으로만 복원이 가능    
   
5. sqlloader 
 : samfile 을 내려서 백업/복구 하는 방식.
 이기종 DBMS 간의 데이터 이동시는 거의 유일한 선택지 
  

반응형

'생계 > 백업복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man recover table  (0) 2023.02.23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