컷오프, 컷오버 같이 단순한 cut 동사에 전치사가 붙는 형태의 동사를 '구동사' 라고 하는데 

원형에서 파생된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이미지를 알지 못하면 의미를 떠올리기 쉽지않다. 

컷오버 는 IT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니까 그 의미를 확실히 구별해보자

 

- CUT-OFF

CUT 은 '자르다' 는 뜻이고 OFF 는 붙어있던(on) 어떤것에서 떨어져 나가는(off) 것을 의미한다. 

잘려나간 쪽의 의미가 강조되어 cut off 는 탈락, 제외 등의 의미를 갖게 된다.

 *cut off date 는 어떤 자격이 상실되는 기준일 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아래 기사의 cut-off time 은 '마라토너들이 자격을 갖추기 위해 들어와야 하는 시간(기록)' 의 의미로 쓰였다.

5:30 부터는 자격이 상실(cut off) 된다.  

출처 : https://www.runnersworld.com/races-places/a45197676/boston-is-back-cutoff-time-for-2024-race/

 

공천에서 배제되는 것을 국내 정치권에서도 컷오프 라고 사용하고 있다. 

출처 :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40307_0002651677#_PA

 

 

- CUT-OVER

반면, over 는 '~ 를 넘어서' 의 의미로 구(old) 에서 신(new) 으로의 단절(cut) 이 생기고, 신(new) 으로 넘어가는(over) 것에 포커스를 맞추는 의미를 갖게 되어 신규시스템 전환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출처 : https://www.sastrageek.com/post/ewm-cutover-activity

 

시스템 이전(transition) 에도 상세하게 들어가면 여러 전략이 나올수 있다.  위의 그림은 시스템의 이전을 제일 간단하게 잘 표현하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
생계/AWS2024. 2. 17. 18:09

무과금으로 AWS RDS mysql 생성하기

본 포스팅의 목적은 무과금으로 AWS RDS db인스턴스를 생성함에 있다. 

실제 DB를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려면 세부 옵션들의 변경이 필요함을 숙지하자. 

 

- 프리티어 가입

- RDS 생성

로그인 후 '서비스 옆 네모박스' -> 데이터베이스 -> RDS 클릭  

 

* RDS 옆에 별표시를 클릭해서 즐겨찾기 등록을 하자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누르자

아직 생성된 인스턴스가 없어서 0 개로 표시된다. 

 

표준생성 선택후  DBMS 는 mysql 로 선택을 하자 

 

엔진버전은 뭘 해도 상관없지만 나는 8.0.33 을 선택했다. 

샘플템플릿은 '프리티어'를 선택했다. 

 

DB 인스턴스 식별자를 적어준다. 

master 사용자 이름은 dbadm 으로 넣어줬다. root 를 사용하던 편한대로 넣어준다. 

 

프리티어에서 버스터블 클래스 만 선택이 가능하다. 

디폴트인 db.t3.micro 를 선택했다.  

과금이 무서우니까 스토리지 자동조정은 꺼놓자. 

아마존은 무서운 놈들이다. 

 

연결설정은 로컬pc에서 붙을수 있게 퍼블릭액세스에 '예' 를 선택한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하자. 

추가 기능에 대한 팝업창이 뜬다. 

ElastiCache , RDS 프록시를 사용할것을 추천해준다. 

지금은 필요가 없으니 '닫기' 버튼을 누른다. 

화면으로 돌아오면 상태가 '생성중' -> '백업중' -> '사용가능'  으로 최종 완료된다. 

 

 

- client tool 로 접속하기 

위의 화면에서 db식별자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으로 이동한다. 

엔드포인트와 포트정보를 확인한다. 

 

 

반응형
Posted by 돌고래트레이너